티스토리 뷰
재무제표란 무엇인가
기업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방법은 기업에서 제공한 보고서를 보는 것입니다. 재무제표는 회계원칙에 맞춰 기업의 활동을 요약하고 기록한 보고서입니다. 주식에서 재무제표는 기본적으로 알아야한다는 말이 자주 들릴텐데요. 처음 재무제표를 접하면 당황스럽기 그지 없습니다. 단 하나의 표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보게되면 여러 제목의 표가 나타나기 때문이죠.
재무제표는 대체로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 <주석>으로 이뤄져있습니다. 아마 처음에 다들 생각하는 재무제표로는 재무상태표일 것 같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우리가 아는 자산과 자본, 부채로 이뤄진 표입니다. 손익계산서나 현금흐름표, 자본변동표는 앞선 단어와 같이 특정한 주제를 집중적으로 기재한 내용입니다.
재무제표의 특징
재무제표의 특징으로는 모든 내용들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에시로 손익계산서는 재무상태표의 당기순이익과 맞물려 있습니다. 재무상태표에서 당기순이익을 더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손익계산서이죠. 다른 지표들도 동일합니다. 결과적으로는 재무상태표의 내용을 확대했다는 점으로 보면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재무제표는 회계로 수치화된 기업의 활동이 기록된 문서라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그리고 각 재무제표들은 서로 연결된 값을 확인할 때 일치해야 합니다. 결국 대차대조가 맞아야한다는 말이죠.
재무상태표의 당기순이익과 손익계산서에서 보여지는 내용이 다를 수 없습니다. 대체로 회계에서 자산과 부채/자본을 좌우로 나누는데, 좌우의 값이 일치해야합니다.
재무제표는 무엇이 중요한가
재무상태표가 전반적인 내용이 기록되어있기에 재무상태표 하나만 보면 되겠다 싶겠지만, 오히려 많은 분들은 손익계산서를 먼저 봅니다. 우리가 빠르게 알고 싶은 것은 전체적인 기업의 상태가 아닙니다. 이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벌고 있는지 입니다. 그렇기에 많은 분들이 손익계산서를 먼저 살펴봅니다.
손익계산서를 본 이후로 재무상태표를 보거나 현금흐름표를 봅니다. 아마 이런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얼마나 돈을 잘 버는지 보고 싶으면 손익계산서만 보면 되는 것 아닌가?” 네, 맞는 말입니다. 그리고 틀린 말이기도 합니다. 손익계산서에는 함정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에 입각해서 기입된다는 점입니다.
손익계산서의 함정 : 발생주의
발생주의는 말 그대로 수익 등이 발생하는 것에 따라 기입되는 내용입니다. 예를 들면 이렇습니다.
정육점에서 삼겹살을 팔고 있습니다. 마침 단골 손님이 왔는데, 돈이 모자르셔서 10,000원 짜리를 5,000원만 받고 5,000원은 외상으로 부쳤습니다. 그렇다면 5,000원만 받은 것이지만 발생주의에 입각해서 수익은 10,000원으로 기재됩니다. 왜냐면 삼겹살은 원래 10,000원이고 판매가 발생했으니까요.
손익계산서만 보면 위험할 수 있습니다. 엄청난 수익이 발생했지만 다른 기업에 외상으로 판 것이라면, 위험성도 안고 있기 때문이죠. 그렇기에 재무상태표나 현금흐름표를 보게 됩니다. 재무상태표는 전반적인 내용을 살피거나 현금흐름표로 현금 위주의 내용을 다시 살펴보는 거죠.
현금흐름표의 특징 : 현금주의
저는 대체로 손익계산서 다음에 현금흐름표를 봅니다. 현금흐름표는 손익계산서와 달리 현금주의로 기록이 됩니다. 현금주의는 앞선 정육점에 예시로 본다면, 삼겹살을 현금 5,000원에 판 것만 기록됩니다. 그렇기에 실질적인 손익을 계산할 때 현금흐름표를 함께 보게 됩니다.
재무제표를 중요성으로 나누기는 각자 추구하는 방식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는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재무제표에서 놓치기 쉬운 정보 : 주석
앞선 내용과 같이 재무제표에는 놀랍게도 <주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석도 재무제표 안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는 거죠. 하지만 주석은 놓치기 쉬운 정보입니다. 우리가 책을 읽을 때, 책 하단에 주석이 있지만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다보니 지나치는 것 처럼 말이죠.
주석은 왜 중요할까요? 주석에는 항목의 세부적인 발행조건이나 계약의 옵션 조항, 소송 등 다양한 내용이 기재됩니다. 단순한 표 형식의 숫자가 담지 못하는 정보들을 주석으로 담게 됩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전반적인 모든 내용을 알더라도 더 세부적인 항목을 보지 못한다면 위험성을 높아지게 되죠.
만약 재무제표에서는 안전한 기업이지만, 주석을 보니 사업의 존폐가 달린 소송이 진행 중이고 이 소송비용이 포함된 것을 안내하고 있다면 우린 해당 기업이 잠재적 위험성을 가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주석을 반드시 봐야합니다. 가장 놓치기 쉽지만 중요한 정보는 주석에 담겨 있기 때문이죠.
재무제표를 막상 본다면 생각보다 엄청 방대한 양의 내용은 아닙니다. 표 자체로만 본다면 구분이 쉬운 편이죠. 하지만 이 표를 보고 어떻게 해석하는가 그리고 어떤 것을 예측하는가에 따라서 투자의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정말 기본이며 그 이후로는 노하우와 경험치로 투자가 결정됩니다.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상태표는 무엇이고, 어떤 것을 알 수 있을까? (0) | 2023.01.26 |
---|---|
손익계산서 알아보기 - 항목과 살펴볼 사항들 (0) | 2023.01.25 |
선물거래와 옵션거래 차이 알아보기 (0) | 2023.01.18 |
해지펀드와 사모펀드 알아보기 - 개념과 차이점 (0) | 2023.01.16 |
ETF란 무엇일까 - 개념과 인덱스 펀드, 그리고 장단점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