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전세로 집을 구할 경우 중소기업에 다니면서 연봉이 3,500만 원 미만이라면

당연히 중기청 전세대출을 받는 게 제일 좋지만,

그렇지 않다면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선택하게 되는데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도 신혼부부와 청년 등으로 나뉘지만,

우선은 일반형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을 찾아보면 조건이 적혀있습니다.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

이 문구 때문에 미혼은 대출이 불가능한가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는데요.

결론만 말하면 미혼 이어도 대출이 가능합니다.

 

*만에 하나라도 모르니 대출 전 시중은행에 유선으로라도 상담을 받아보세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조건

기혼자

  1. 주택 계약 체결 후 주택임대차보증금 5% 이상을 지불한 자
  2. 부부합산 소득 연 5,000만 원 이하
    *신혼/2자녀 이상일 경우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
  3. 세대주 및 세대원 모두 무주택자
  4. 부부 합산 순자산 가액 2.92억 이하 (2021년 기준)
  5. 대출 접수일 기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지 않는 자
  6. 타 전세자금대출 및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지 않는 자
  7. 신용에 문제가 없는 자

미혼자

미혼자의 경우에는 기혼자와 동일한 조건에서 하나만 달라집니다.

연령이 만 25세 이상이면서 단독세대주여야 합니다.

 

  1. 주택 계약 체결 후 주택임대차보증금 5% 이상을 지불한 자
  2. 만 25세 이상, 단독 세대주인 자
  3. 소득 연 5,000만 원 이하
  4. 무주택자인 자
  5. 순자산 가액 2.92억 이하 (2021년 기준)
  6. 대출접수일 기준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지 않는 자
  7. 타 전세자금대출 및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지 않는 자
  8. 신용에 문제가 없는 자

주택 조건

  1. 임차 전용면적 85m² 이하
  2. 임차보증금 수도권 3억 이하, 비수도권 2억 이하
    *신혼부부/2자녀 이상의 경우 수도권 4억 이하, 비수도권 3억 이하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한도와 금리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은 전세금의 7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금의 한도는 수도권이라면 최대 1.2억 원까지,

비수도권이라면 8천만 원(0.8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신혼부부/2자녀 이상 가구라면 80%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한도는 동일합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금리는 연소득과 임차보증금에 따라 다릅니다.

연 소득 임차보증금
5천 만원 이하 5천 만원 초과 ~ 1억원 이하 1억원 초과
~ 2천 만원 1.8% 1.9% 2.0%
2천 만원 초과 ~ 4천 만원 이하 2.0% 2.1% 2.2%
4천 만원 초과 ~ 6천 만원 이하 2.2% 2.3% 2.4%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필요 서류

개인 준비 사항

  1. 대출 신청자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2. 주민등록 초본 (변동사항 포함, 주민등록번호 포함)
  3. 주민등록등본 (5년 내 주소 변동 포함)
  4. 가족관계 증명서

부동산 준비 사항

  1. 확정일자가 있는 임대차 계약서
    *확정일자는 본인이 받아야 합니다.
  2. 임대차보증금 5% 이상 지불 영수증
  3. 계약 주택의 등기부등본
  4. 집합건물대장 (빌라, 다세대 주택 시 필요)

회사 준비 사항

  1. 재직증명서
  2. 사업자등록증 사본
  3. 원천징수영수증
    *1년 미만 재직자, 건강보험자격 득실 확인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또한 기금e든든 홈페이지와 앱에서 대출 진행이 가능합니다.

기금e든든 사이트 바로가기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