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배당할인모형

배당할인모형(DDM)은 기업의 가치평가 방법에서도 기초적이면서도 오래된 모델입니다.

DDM은 말 그대로 배당금을 기반으로 기업(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의 가치는 앞으로의 모든 배당금의 가치를 더한 것과 같다는 생각으로 나온 계산 방법입니다. 그렇기에 배당금을 기반으로 주식의 적정 가격을 산출하게 되는거죠.

 

사실상 DDM은 계산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계산을 위해서는 3개의 데이터가 필요한데, 그 중 추정치가 2개나 있기 때문이죠.

계산에 활용되는 추정 데이터는 배당의 성장률이랑 할인율입니다. 배당의 성장률이랑 할인율은 명확한 수치를 만들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모두가 같은 기업을 평가하기 위해서 DDM을 진행한다고 해도 다른 결과가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배당할인모형 계산하기

배당할인모형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아래 내용을 준비해야합니다.

  • 다음 배당금
  • 할인율 (최소 수익률)
  • 배당의 성장률

위 내용을 준비했다면 구하는 공식은 몹시 쉽습니다.

 

 

단순하게 할인율에 배당 성장률을 뺀 값을 다음 배당금으로 나누면 됩니다.

만약 다음 배당금이 5,000원이고, 할인율이 10%, 배당의 성장률이 5%라고 가정할 경우 아래와 같이 적용됩니다.

위 경우 결과적으로는 <5,000 ÷ 0.05>가 됩니다. 즉, 적정한 주가는 100,000원이 됩니다.

 

 

 

할인율과 배당 성장률은 어떻게 구할까?

할인율

할인율은 특히 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아직 기준이 없다면 RIM을 구할 때 처럼 한국신용평가에서 제공하는 기업채금리를 확인해서 기준을 잡는 것도 방법입니다.

 

한국신용평가

의견등록 입력이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 확인 후 회신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ww.kisrating.co.kr

 

 

 

배당 성장률

배당 성장률은 이전 배당률을 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 외로도 당기순이익 등을 확인해서 당기순이익 대비 배당률이 어떻게 됐는지 보면서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를 확인하면 조금 추정하기 쉬울 수 있습니다.

KIND에서는 기업의 배당률을 조회할 수 있기에 확인해보면 좋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D

기준연도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기준 최근    3 2 1 년간

kind.krx.co.kr

 

 

 

배당할인모형은 기본적이면서도 오래된 주가평가 방식이지만, 60% 추정값으로 계산하기에 정확도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개인적으로는 반드시 다른 분석 모델을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작가 macrovector 출처 Freepik

 

반응형
댓글